본문 바로가기

식품 정보 정리/농산물

지역별 설 차례상

반응형

서울경기지역

서울, 경기 지역의 설날 차례상은 전통적인 예법과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여 구성됩니다.
기본적으로 차례상은 다섯 줄로 배열되며, 각 줄마다 놓이는 음식의 종류가 정해져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서울에서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약 22만 4천 원,
대형마트를 이용하면 약 25만 8천 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첫째 줄 (조율이시)
    •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 등의 과일을 놓습니다.
  2. 둘째 줄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좌측), 고기는 서쪽(우측)에 배치합니다.
    • 생선은 머리가 동쪽을 향하도록 놓습니다.
  3. 셋째 줄 (좌포우혜)
    • 좌측에는 포(말린 생선), 우측에는 혜(젓갈류)를 놓습니다.
  4. 넷째 줄 (탕)
    • 세 가지 탕(육탕, 어탕, 소탕)을 중앙에 배치합니다.
  5. 다섯째 줄 (밥, 국, 술)
    • 밥은 서쪽(우측), 국은 동쪽(좌측)에 놓습니다.

주요 메뉴:

  1. 떡국: 설날 아침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차례상에 떡국을 올려 조상님께 새해의 시작을 알립니다.
  2. 나물: 고사리, 시금치, 도라지 등 삼색나물을 준비하여 차례상에 올립니다.
  3. 전: 녹두전이 대표적이며, 이는 녹두를 갈아 부친 음식으로, 서울 지역에서는 닭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녹두전을 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4. 탕: 육탕(고기탕), 어탕(생선탕), 소탕(채소탕) 등 세 가지 탕을 준비하여 중앙에 배치합니다.
  5. 포: 말린 생선인 북어포나 대구포를 사용하며, 이는 다산과 풍요를 상징합니다.

특색 있는 메뉴:

  • 말린 생선: 내륙 지역인 서울과 경기도에서는 신선한 해산물보다 말린 생선을 차례상에 올리는 전통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명태와 말린 통북어를 사용하며, 이는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녹두전: 서울 지역에서는 닭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녹두전을 차례상에 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충청도 지역

주요 메뉴:

  1. 떡국: 설날 아침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충청도에서는 '생떡국'이라는 독특한 형태로 즐깁니다. 멥쌀가루를 끓는 물에 익반죽하여 길게 만들어 썰거나 새알 모양으로 빚어 만든 생떡을 장국에 넣어 끓입니다.
  2. 나물: 고사리, 시금치, 도라지 등 다양한 나물을 준비하여 차례상에 올립니다. 특히 무나물은 평소 반찬으로도 즐겨 먹으며, 차례상에도 자주 오르는 음식입니다.
  3. 전: 내륙 지역인 충청북도에서는 배추전, 칡전 등 부침류를 즐겨 먹습니다. 산지가 많아 질 좋은 칡을 손쉽게 구할 수 있어 칡전이 차례상에 오릅니다.

특색 있는 메뉴:

  • 계적: 통째로 삶은 닭 위에 달걀지단을 올려 만드는 음식으로, 예전에는 꿩고기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닭고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 건어물: 경북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대구포, 상어포, 오징어포, 가오리포, 피문어 등 다양한 건어물을 차례상에 올립니다.
  • 홍어: 전라도와 가까운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를 차례상에 올리는 전통이 있습니다.

경상도 지역

주요 메뉴:

  1. 생선류:
    • 경상도는 바다와 인접해 있어 조기,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 다양한 생선을 차례상에 올립니다.
  2. 어패류:
    • 조개 등 다양한 어패류도 차례상에 포함됩니다.

특색 있는 메뉴:

  • 문어:
    • 경상도 차례상에는 통으로 삶은 문어가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 돔배기:
    • '돔배기'는 상어고기를 소금에 절여 숙성시킨 음식으로, 경상도 지역의 차례상에 오르는 독특한 메뉴입니다.

전라도지역

주요 메뉴:

  1. 홍어:
    • 전라도 차례상에는 홍어가 빠지지 않고 올라갑니다. 이는 전라도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잔치나 제사에 반드시 오르는 음식입니다.
  2. 병어:
    • 홍어 대신 병어를 올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병어는 살이 통통하고 뼈나 가시가 적어 덕이 있는 생선으로 여겨집니다.
  3. 낙지:
    • 전라도 차례상에는 낙지가 포함되며, 이는 지역의 풍부한 해산물을 반영한 것입니다.
  4. 꼬막:
    • 전라도에서는 주름이 깊고 선명한 참꼬막을 '제사꼬막'이라고 부르며, 차례상에 빠지지 않는 음식입니다. 꼬막은 별다른 양념 없이 살짝 데쳐 차례상에 올립니다.

강원도지역

주요 메뉴:

  1. 나물류:
    • 강원도는 산간지방이므로 나물과 뿌리작물을 활용한 음식이 풍성합니다. 특히 송이 같은 귀한 버섯은 소적으로 구워내어 제사음식으로 올립니다.
  2. 감자 및 고구마 요리:
    • 감자와 고구마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농산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가 차례상에 오릅니다. 예를 들어, 감자전이나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 생선류:
    • 과거 강원도 앞바다에서 많이 잡히던 명태는 지역 차례상에 빠짐없이 올려지던 재료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어획량 감소로 인해 다른 생선으로 대체되기도 합니다.

특색 있는 메뉴:

  • 메밀전:
    • 평창 등 메밀이 많이 나는 지역에서는 메밀전을 차례상에 올리는 전통이 있습니다. 메밀을 갈아 부친 전은 강원도의 향토 음식을 대표합니다.

제주도

주요 메뉴:

  1. 옥돔:
    • 제주 차례상에 생선 중 으뜸으로 여겨지는 옥돔은 구이로 올려집니다.
  2. 감귤:
    • 제주의 대표 과일인 감귤은 차례상의 필수 과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떡:
    • 제주 차례상에는 다양한 떡이 올라가며, 최근에는 롤케이크와 같은 현대적인 디저트도 포함되는 추세입니다.

특색 있는 풍습:

  • 문전제:
    • 제주에서는 조상보다 신을 위한 상을 따로 마련하여 제를 지내는 풍습이 있습니다.

지역별차이 정리

1. 서울·경기 지역

특징: 전통적인 유교 예법을 따르는 정갈한 차례상
상차림 배치:

  • 다섯 줄 배열 (조율이시, 어동육서, 좌포우혜, 탕류, 밥과 술)
  • 음식 가짓수를 홀수로 맞추는 경향
    대표 메뉴: 떡국, 나물, 녹두전, 북어포
    특색: 신선한 해산물이 부족하여 말린 생선(북어, 명태포) 사용

2. 충청도 지역

특징: 서울과 전라도의 영향을 받으며 간소한 차례상
상차림 배치:

  • 전통적인 5열 배치 유지
  • 나물류와 전이 풍부
    대표 메뉴: 생떡국, 무나물, 배추전, 계적(삶은 닭 요리)
    특색: 생떡국(쌀가루로 만든 떡국) 을 올리는 것이 특징

3. 경상도 지역

특징: 해안과 내륙의 영향이 조화된 풍성한 차례상
상차림 배치:

  • 전통적인 5열 배치
  • 해산물 중심으로 구성
    대표 메뉴: 문어, 돔배기(상어고기), 대구포, 생선(가자미, 조기)
    특색: 통문어 를 올리며, 돔배기(염장한 상어고기) 를 올리는 지역이 있음

4. 전라도 지역

특징: 음식 가짓수가 많고 해산물 위주의 차례상
상차림 배치:

  • 전통적인 5열 배치
  • 해산물과 나물이 풍부
    대표 메뉴: 홍어, 병어, 낙지, 참꼬막
    특색: 홍어가 필수, 병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참꼬막 을 올리는 것이 특징

5. 강원도 지역

특징: 산간지방 특성을 반영한 소박한 차례상
상차림 배치:

  • 전통적인 5열 배치 유지
  • 생선 대신 건어물과 나물류 중심
    대표 메뉴: 메밀전, 감자전, 명태포, 버섯구이
    특색: 명태포(말린 명태)와 메밀전 이 포함되며, 감자·고구마 등의 작물이 많이 활용됨

6. 제주도 지역

특징: 해양 기후와 신앙적 요소가 반영된 차례상
상차림 배치:

  • 일반 차례상과 함께 문전제(신을 위한 제사) 진행
    대표 메뉴: 옥돔구이, 감귤, 전복, 다양한 떡
    특색: 옥돔구이(최고급 생선) 와 감귤이 필수

지역별 차례상의 주요 차이점 정리

지역주요 차이점

서울·경기 전통적인 유교 예법, 북어포 사용
충청도 생떡국, 배추전, 계적(삶은 닭 요리)
경상도 통문어, 돔배기(상어고기), 대구포
전라도 홍어, 병어, 낙지, 참꼬막 포함
강원도 메밀전, 명태포, 감자·고구마 활용
제주도 옥돔구이, 감귤 필수, 문전제 풍습

 

반응형

'식품 정보 정리 > 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위 | 작지만 강력한 그의 모든 것  (0) 2025.04.22
양배추 개요 종류 효능 고르는법 먹는법  (1) 2024.12.15
파인애플  (6) 2024.09.30
체리  (9) 2024.07.22
배추  (5)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