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 정보 정리/스낵

새우깡

반응형

개요

새우깡은 1971년에 출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이라고 합니다.
정말 오랜 기간 사랑받아온 국민 과자인데,
특유의 짭짜름하면서도 고소 맛과 바삭한 식감으로 많은 이들의 입천장을 불나게하기도 했습니다.

한 봉지에는 실제 생새우 4~5마리가 들어가있다고하며,
튀기지 않고 소금으로 굽는 '파칭 공법'을 사용하여 담백한 맛을 자랑하는 새우깡,
새우깡의 영양성분과 재밌는 사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새우깡 기본정보

출시 연도: 1971년
제조사: 농심 (Nongshim)
종류: 스낵(과자)
주원료: 밀가루, 새우, 팜유, 소금 등
칼로리: 1봉(90g) 기준 약 450kcal
제조 방식: ‘파칭 공법’(튀기지 않고 소금으로 구워 바삭한 식감 유지)

 

원재료명


원재료분석

소맥분(밀:미국산) 밀가루, 대부분 과자의 주재료.
탄수화물의 주요 공급원.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고 과자의 구조를 형성
대부분의 스낵에서 미국산 밀가루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것으로 보임.
미강유(태국산) 쌀의 껍질을 정제하여 얻은 기름,
고온에서 안정성이 높고, 비교적 맛이 순해 튀김에 사용됨
태국산 미강유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대량 생산에 유리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임.
옥수수전분
(옥수수:외국산
(러시아,헝가리,세르비아 등))
옥수수에서 추출한 전분,
식감과 바삭함을 제공하고, 
과자의 밀도를 조절하는데 사용.
 
새우(미국산90%, 국산10%) 특유의 풍미를 제공하는 주요 재료. 가격의 이유로 미국산 비율이 높으나 
실제 새우사용으로 인해 풍미가 
보장되는 것으로 보임
팜유 저렴한 비용,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이 좋아
튀김 기름으로 사용.
상대적으로 건강상 좋은 재료는 아니나, 
단가의 이유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임
맛베이스 조미분말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해 혼합된 조미분말.
특유의 짭짤하고 고소한 맛을 내는 재료
다양한 인공 조미료나 향미 성분이 포함됐을 것으로 보이나, 
소비자에게는 익숙한 맛을 제공
혼합제제
(타피오카산화전분,
말토덱스트린)
타피오카에서 추출한 전분: 과자에 질감을 추가하고 보존성을 높임
말토덱스트린: 당분을 공급하는 재료, 과자의 단맛과 부드러움을 더함 
식감과 보존성을 높여주는 기능의 대부분 스낵에서 사용되는 안정적인 재료,
다만, 과다 섭취 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이있는 것으로 보임
새우풍미유 새우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름.
새우 풍미를 높임
 
염미시즈닝
(밀, 새우, 대두, 우유 함유)
염분과 함께 다양한 향미를 추가하는 조미료
과자의 짠맛을 내는 중요한 역할.
짠맛을 조절하는 재료, 과자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보임.

summary

 

  • 맛과 품질: 새우의 풍미와 맛을 강조하는 재료들이 적절히 배합되어 소비자에게 익숙한 맛을 제공합니다. 특히 새우의 비율이 꽤 적지 않아서 새우의 풍미를 잘 느낄 수 있습니다.
  • 건강적인 측면: 팜유옥수수전분, 타피오카산화전분, 말토덱스트린 등 일부 성분은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나치게 섭취하면 트랜스지방과 당분 과잉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또한, 염미시즈닝맛베이스 조미분말은 인공적인 맛을 내는 성분일 가능성이 있어 과도한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품질 관리: 재료들이 해외에서 수입된 것이 일부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품질이 안정적이며, 다양한 나라에서 수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양정보

 

영양정보  총내용량 90g    
나트륨  610mg 31% 하루섭취권장량의 31% 일반적인 섭취기준 하루 2000mg 이므로
고혈압 환자, 심혈관 질환자들에게는 
주의가 요구된다.
탄수화물 54g 17% 하루섭취권장량의 17% 일반적으로, 과자류에서 탄수화물의 대부분이 소화가 빠르고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는 고 glycemic index의 형태로 들어간다고 한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으로 섭취에는 문제가 없어 보임.
당류  5g 5% 하루섭취권장량의 5% 과자한봉지에서는 적당한 수준
지방  25g 46% 하루섭취권장량의 46% 지방비율은 높은편, 칼로리 체중 관리에 중요한 사람들에게는 주의가 요구됨.
트랜스지방  0.5g미만   체내에서 분해가 잘 되지않는 지방이지만,
0.5g미만인것은 긍정적.
포화지방  8g 53% 하루섭취권장량의 53% 하루에 포화지방의 섭취는 10-15g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이상적
콜레스테롤이 높고 심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아보임.
콜레스테롤  5mg미만 1%   동물성지방에서 나오는 콜레스테롤이나
매우 적은양으로 일반적인 섭취로 문제가 되지않음.
단백질  6g 11% 하루섭취권장량의 11% 일정량의 단백질이 포함된 것은 긍정적
칼슘  85mg 12% 하루섭취권장량의 12% 일정량의 칼슘이 포함된 것은 긍정적

 

재미있는 사실

1. 이름의 유래 – “새우깡”은 어디서 왔을까?

이름은 조선 후기의 문인 정약전이 집필한 해양 생물 서적 자산어보에서 착안한 것입니다.
농심 창업자인 신춘호 회장은 자산어보에서 ‘새우깡’이라는 단어를 보고
이를 브랜드명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깡’은 바삭한 식감을 의미하는 단어로, ‘새우깡’이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이죠.

2. 국민 과자가 된 계기 – “새우깡 손이 가요~”

1980년대 새우깡의 인기를 크게 끌어올린 것은 바로 전설적인 광고 CM송입니다.
“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
이 광고송은 너무 중독성이 강해서 온 국민이 따라 불렀고,
이 덕분에 새우깡은 지금까지도 ‘손이 가는 과자’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3. 한때 매출이 떨어졌던 이유? “새우깡 저주설”

2000년대 초반, 야구팬들 사이에서는 ‘새우깡 저주’라는 이야기가 퍼졌어요.
새우깡을 광고한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이후에 슬럼프를 겪거나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루머가 퍼진 거죠.
예를 들면, 1999년 새우깡 모델이었던 가수 김건모가 다음 앨범에서 예전만큼 큰 인기를 얻지 못했고,
몇몇 스포츠 선수들도 새우깡 광고 이후 부진을 겪었다고 해요. 물론 우연의 일치지만,
이 소문이 퍼지면서 한동안 새우깡의 인기가 주춤하기도 했습니다.

4. 이순재가 만든 밈 – “너네 새우깡 좋아하냐?”

2009년 방영된 MBC 예능 무한도전에서 배우 이순재가 했던 말이 온라인에서 유행했어요.
"너네 새우깡 좋아하냐?"라고 말하는 장면이 밈처럼 번지면서,
새우깡은 젊은 세대 사이에서도 다시 화제가 됐습니다. 덕
분에 농심이 따로 광고를 하지 않았는데도 새우깡이 다시 주목받는 계기가 됐죠.

5. 농심이 일본에서 배운 기술로 만든 최초의 과자?

사실 일본의 유명 과자인 **칼비(カルビー)의 ‘가파리삐(かっぱえびせん)’**을 벤치마킹해서 만든 제품입니다.
농심의 창업자 신춘호 회장은 일본에서 과자 기술을 배운 뒤 한국으로 돌아와 새우깡을 개발했다고 해요.
하지만 일본 제품과 차별화하기 위해 ‘파칭 공법’을 도입해 더 바삭하고 담백한 맛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6. 해외에서도 인기? 특히 중국과 동남아에서 대박!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동남아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입니다.
중국에서는 '샤샤오빙(虾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고 있고,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국가에서도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요.
특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여행 기념품으로 많이 사 가기도 하죠.

반응형

'식품 정보 정리 > 스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북칩 맛, 영양정보, 색다른 조합 추천  (1) 2025.03.17
도시락 그시절 추억 그대로  (0) 2025.03.01
블랑 1664  (0) 2025.01.24
카스 제로  (0) 2025.01.15
아이들 간식 왜 중요할까  (2) 2024.12.28